TFTP 는 호스트PC시스템에서 타겟보드 시스템으로 이미지파일을
ethernet 교차 케이블을 통해 내려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.
NFS 는 사용자가 원격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마치 자신의 컴퓨터 시스템에 있는 것처럼
검색, 수정, 저장, 그리고 호스트 시스템에서 타겟 보드 시스템으로 자료의 전송 등을 가능하게 하는
서버(server)/클라이언트(client) 형태의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.
NF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
타겟보드 시스템에서는 타겟 보드 시스템에는 NFS 클라이언트 데몬이
호스트시스템에서는 NFS 서버 데몬이 설치 또는 설정되어야 한다.
#### TFTP 설정 ,확인
#vi /tftpboot/test.txt
안에 TEST라고 써본다.
#tftp localhost
#get test.txt
#quit
#cat test.txt
TEST라고 출력된다.
# iptables --flush //시스템 방화벽 해제
# mkdir /nfs // server상의 파일공유 할 파일 생성
# chmod 777 /nfs // 권한설정
######### NFS 서버 설치
#apt-get install nfs-kernel-server
//여기서 home/test에 nfs 를 생성하였다고 가정.
# vi /etc/exports
파일을 편집해야한다.
/home/test/nfs 192.168.1.*(rw,no_root_squash,no_all_squash,async,no_subtree_check)
nfs 서비스경로 허가아이피대역 을 지정해줌.
NFS 서버 재시작.
# /etc/init.d/nfs-kerner-server restart
# exportfs -r //현재 사용안됨. 이유알 수 없음.
#mount -t nfs localhost:/home/test/nfs /mnt/test
#umount /mnt/test
#vi /etc/fstab
localhost:/home/test/nfs /mnt/test nfs defaults 0 0
#mount -a
'임베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크로스 컴파일 환경 구축(1) (0) | 2012.03.28 |
---|